top of page

Glocal Mission Summit 후기

김재영 목사 (International Theological Seminary, Dean of Korean Program)


이번에 열린 글로컬 컨퍼런스에 참석한 느낌을 반추해 보려고 합니다.

이 글로컬 미션 서밋(Glocal Mission Summit)은 북미주 개혁교회(Christian Reformed Church in North America) 안에 있는 레조네이트(Resonate)라는 조직에서 개최한 컨퍼런스입니다. 이 Resonate 은 북미주 개혁교단의 선교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단 선교부가 이전에는 국내 선교부와 국외 선교부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얼마 전 교단 내 전반적인 조직 개편이 있었고, 이 두 선교부서를 통합하여 이름을 Resonate 이라 붙였습니다. 그러므로 이번 컨퍼런스는 북미주 개혁교회의 선교대회라고 표현해도 무방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글로컬 미션 서밋은 교단 전체의 선교를 망라하는 선교대회가 아닌, 미션얼/미셔널 운동이라는 특정한 어젠다를 갖고 열린 대회로, 교단의 선교 미래를 짚어나가 보는 작업의 일환으로 개최되었습니다. 교단 내 선교 활동 중 특별히 포스트-크리스천 사회가 지배하는 국내외의 급변하는 상황 가운데, 어떻게 교회가 혹은 선교사(혹은 목회자)가 현장의 당면한 상황에서 성령의 부르심에 응답하여 복음의 선교, 즉 하나님의 선교를 감당하느냐의 문제를 확인해 보고, 점검하면서 교단 내에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대회의 표제도 매우 의도적으로 New Wineskins 로 붙였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보다 앞서 일하고 계시는 미지의 영역에 대한 탐구입니다. 이 대회의 주최측에서는 진정 의도적으로 Old Winskins 와 New Wineskins 를 대조해서 생각하기를 원했습니다.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Old Winskins(옛 가죽부대)을 마음에 두면서, 먼저 현장에 가 계시며 그 자리에 임재하셔서 우리에게 오라고 부르시는 하나님의 그 부르심에 응답하여 나가는 제자들/일꾼들에게 성령을 통해 어떻게 새 가죽부대를 만들어 나가시는지, 그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확인할 것을 목표했다고 여겨집니다.


첫날인 월요일 오후 3 시, 묵은 포도주 가죽부대와 새 포도주 가죽부대의 비교가 나오는 누가복음 본문 5 장 33-39 절의 묵상으로 대회가 시작됐습니다. 여성 참석자 한 명, 남성 참석자 한 명이 각각 차례대로 본문을 소리내어 읽었고, 참석자들은 귀로 들으며 눈으로 본문을 읽었습니다. 그 후, 테이블 별로 나누는 시간을 갖고, 각 테이블에서 나누어진 요점들을 다시 정리하여 전체 참석자들과 나누는 순서를 가졌습니다. 이 시간에는 주최측의 의도를 모른채, 본문에 대한 여러 가지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전반적으로 주최측이 의도했을 법한 의견들도 참석자들에게서 제시되었습니다.


그 다음 저녁 식사 시간을 갖고, 저녁 세션에서 레네 빠띨랴(Lena Padilla)의 딸인 루스 빠띨랴 드보리스트(Ruth Padilla DeBorst)가 그 본문이 갖는 의도와 의미에 대한 나름의 전반적인 해석과 적용을 제시했습니다. 루스는 그 본문이 갖는 의미를 교단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상황에까지 폭넓게 확대 적용하여 이제는 전 지구촌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묵은 포도주의 좋은 점들을 보존하면서 또 묵은 포도주 가죽부대를 손상하지 않고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서 새 포도주를 받아들이는 새 포도주 가죽부대를 준비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도전했습니다.


그 후 다시 각 테이블에서 루스 빠띨랴의 프리젠테이션을 듣고 난 후 떠오르는 점들, 인상적인 점들, 그리고 질의 사항 등을 서로 나누고, 다시 루스 빠띨랴와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습니다.


프리젠테이션이 있고 그 다음 각 테이블 별로 자기 소개를 하고 들은 바에서 무엇을 느끼고 배웠는지, 혹은 배우는지를 나누는 포맷은 이번 대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배치 된 것입니다. 그것은 프리젠터(발표자)로부터만 들을 뿐 아니라 각 테이블에 앉은 각 사람들로부터 듣고 배우며 또 자기가 들은 바를 나누도록 의도된 것입니다. 그 포맷(컨텍스트)을 통해서 전체적으로 하나님이 각자에게 각자의 형편과 품성과 은사에 따라서 말씀하시는 바를 듣고 배우도록 의도했습니다. 이번 이 포맷의 유일한 단점은 진행상 나눔의 시간의 폭이 좀 짧았다는 것입니다.


각 테이블에서의 나눔의 시간이 짧은 문제는 다음 날에도 계속되었습니다. 물론 각 테이블에 앉은 참석자들 각자도 할 말이 많이 있는 분들이었으나 각각의 프리젠테이션에 대해서 충분히 음미하면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여유가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디자인 자체는 매우 좋다고 보았습니다.


화요일은 다시 주제 본문을 더 깊이 주해하는 앤 자키(Ann Zaki)의 프리젠테이션으로 시작해, 우리가 추구해야 할 새로운 포도주 가죽부대(New Wine Skins)가 무엇이 있는지, 현재 북미주 개혁교단 안에서 추구하는 바를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당사자들을 초대해서 들어보는 시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앤 자키는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이번 세미나를 위해서 특별히 참석했습니다.

앤 자키의 도전이 있은 다음, 먼저 도시선교에서의 새 가죽부대라는 타이틀 아래 캐나다 세인트 토마스(St. Thomas)에서 인디언 원주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선교하는 베쓰 휄링거(Beth Fellinger)와 노던 캘리포니아 오클랜드 지역에서 흑인과 백인이 한 교회를 이루는 개척교회를 시도하여 지금은 다인종 교회를 이루게 된 카일 브룩스(Kyle Brooks)와 버나드 에머슨(Bernard Emerson) 목사의 실천, 그리고 시애틀에서 홈리스 사역을 하고 있는 리사 에터-칼슨(Lisa Etter- Carlson)의 사역을 소개받았습니다.


이분들의 사역의 공통점은 일단 복음에 따라서 하나님의 선교의 인도함대로 계층적이며, 인종적인 소외의 장벽을 넘어 서는 의도적인 노력을 실천했다는 점입니다. 특히 흑백교회를 이룬 카일 브룩스와 버나드 에머슨의 선례는 신선한 충격을 주기에 충분했습니다. 특히 백인 목사로서 먼저 개척교회를 시도한 카일 쪽에서 그 교회의 리더십을 맨 처음부터 흑인인 버나드에게 내어주면서 교회의 구성과 구조를 완전히 재구성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컸습니다.


또한 아무데서도 자기들의 존재를 인정받지 못하여 투명인간처럼 마치 없는 사람 취급을 받으며 좌절감과 절망 속에 죽지 못해 사는 원주민 청소년들을 끌어안고 그들의 대모가 되어 얘기를 들어주고 그들이 찾아와 쉴 수 있는 넉넉한 품이 되어주는 사역을 감당하고 있는 베쓰나, 사회에서 내몰리고 내몰리며 자기들 스스로도 마약쟁이와 알콜중독, 몸파는 일 등으로 가까스로 살아가는 사람들 속으로 들어가 그 곁에 집을 마련하고 그 집을 그들의 쉼터로 내어주며 그 안에서 사역하는 리사의 "함께 하는 사역" 역시 교회에 대한 우리의 기성의 선입관에 커다란 충격을 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다 아래로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이들은 지금 우리의 상식적인 판단으로는 하나님이 안 계실 것 같은 자리, 편안하거나 안정적이지 않은 자리, 그늘진 자리, 갈등이 있는 현장 속으로 내려갔고, 그 자리에서 이미 먼저 와 계시는 하나님의 현존을 만나며 하나님의 사역을 감당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의 사역은 지금 현재 우리가 몸담고 있고 알고 있는 교회가 현재의 구조를 이루면서 하나님이 원치 않는 위계질서를 이루고 있음을 반면교사로서 보여줍니다. 우리는 교회를 세상의 권력구조, 황제나 왕을 정점으로 하는 리더십 구조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하는 구조는 그렇지가 않습니다. 우리는 섬김을 중심으로 하는 구조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잊어버리고 잃어버린 틀 가운데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점심식사 이후 오후 세션에서는 New Wine Skins for Building Friendship 이라는 타이틀 아래 이웃과의 연결의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캐나다에서 사역을 하는 사역자들이었는데, 에드몬톤에서 케어런 윌크(Karen Wilk), 라콤 에서 릭 애브마(Rick Abma), 리치몬드에서 데이빗 치엉(David Cheung), 그리고 브리티시 컬럼비아 뱅쿠버에서 디나 니콜라이(Dena Nicolai)가 나와서 자신들의 사례를 발표했습니다. 이분들은 이웃을 친구삼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계속해서 보여주었습니다. 교회를 중심으로 크게 구획을 그어 그 지역에 속한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고 이웃들 중에 누가 있는지를 알게 되고 그들을 친구로 삼고 또 그 중에 어려운 사람들을 돕고 그들과 생활상의 여러 면에서 교제를 나누면서 그 지역의 삶의 질을 높이고 완전히 다른 이웃관계로 승화시킨 케어런의 사례나, 커피를 로스팅하고 또 커피를 직접 내려서 자전거에 싣고 커피 익스프레스라는 이름으로 공짜 커피를 나누면서 이웃을 돌아다니면서 넉넉한 동네 아저씨로서 이웃을 친구로 삼았던 릭 에브마의 사례, 이집트 카이로에서 살 때 중동의 봄의 열기 이후에 찾아온 공포의 격동기에 자기 동네 이집트인들이 자기 가족과 이웃들을 위해서 목숨을 내놓으면서 자기 동네를 지켜내는 모습에서 참된 이웃이란 그렇게 자기를 희생하면서까지 친구를 위해서, 이웃을 위해서 수고하는 것임을 확신하고 캐나다로 돌아와서 시리아 난민들에게 친구가 되어주는 사역을 감당하고 있는 디나의 사례는 우리가 지금 현재의 자리에서 이웃들에게로 더 나아가야 함을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이웃삼기 혹은 이웃들을 친구삼기의 사역은 하나님을 따라서 이웃들에게로 들어가라는 미션얼의 신학, 그리고 거기에서 나온 Go local 의 실천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 이웃삼기, 이웃을 친구삼기의 노력은 사실상 이민한인교회들에게는 커다란 도전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 까닭은 우리에게 이웃은 같은 교회에 나오는 같은 동포 한인들로 국한되어 있고, 자신이 사는 동네의 타인종 이웃들과의 관계는 거의 단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에드몬톤에서 온 캐어런의 경우처럼 만일 교회가 이 빌딩 프렌드십(Building Friendship)을 교회의 중요한 가치이자 전략이자 목표로 삼는다면, 그리하여 우리 한인 교회 교인들이 움직이기 시작한다면, 이웃들과 적극적으로 완전히 다른 관계를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언어적 제약도 분명하고 문화적인 차이도 확실하며 서로 대면하는데 익숙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이웃들을 친구로 삼는 일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하나님께서 이미 먼저 그들 가운데 가서 일하고 계시며 우리를 그 자리로 부르고 계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면, 한인 교회들 자체에도 커다란 변화가 올 것입니다. 이웃들을 교회로 부르려고 하지 말고, 교회가 그들 속으로 들어가서 이웃들 가운데서 피크닉을 하고 이웃들 가운데서 함께 하는 방식을 찾아봐야 할 것입니다. 어른들이 한국말만 사용하고 영어를 못하기 때문에 대화가 어렵다면, 자녀들과 함께 해서라도 이웃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라이프스타일을 갖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다음에 이어진 세션에서는 선랜드 온누리 교회가 어떻게 멕시코 선교를 시작하게 되었으며 매주 두 차례씩 멕시코를 오가면서 사역을 감당하고 티후아나 지역에 신학교를 세우고 800 명의 리더들을 배출하고자 했으며 지금은 다시 그들을 800 명의 선교사들로 파송하자는 목표로 멕시코 현지인들과 파트너십을 통해서 선교를 하려는 단계에까지 이르렀음을 발표했습니다. 이것은 미셔널 모델은 아니지만, 멕시코 현지인들과 동역할 단계에까지 이르렀다는 점에서 고무적입니다.


몰몬교인이 인구의 90 퍼센트 이상인 솔트 레이크 시티에서 사역하는 브라이언 티븐(Brian Tebben)의 스토리 역시 거의 황무지와 같은 곳에서 그 이웃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서 그들의 사정을 알고 이해하고 그들에 대한 긍휼함으로 낮은 자리에 들어가 친구로 삼을 때에 그 가운데서 성령님이 복음으로 일하실 기회가 임한다는 점을 일깨워줍니다. 그러나 자신의 스토리를 전해 줄 때에 자신이 처음 솔트 레이크 시티에 있었던 그 개혁교회(CRC)가 그 현장에서 어떤 태도와 자세로 그들의 신앙을 고수하면서 주위와 담벼락을 쌓고 살았었는지를 언뜻 언급했는데, 거기에서 우리는 물론 오래된 포도주가 좋다는 묵은 포도주 가죽부대의 모습을 확인합니다. 그 신앙내용이야 말할 것도 없이 좋은 것이로되, 그 신앙실천은 이제는 제 역할을 하고 있지 못해서 무엇인가 새로운 계기가 필요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그 새로운 포도주를 담을 가죽부대는 매우 어렵고 고통스럽게 찾아 왔습니다.


이러한 점은 역시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리치몬드에서 개척교회를 했고, 그 다음 다시 여러 지교회들을 세우게 된 중국계 이민자출신의 알버트 추(Albert Chu)의 사례에서도 드러납니다. 그 지역에 있었던 백인 네덜란드계 개혁교회(CRC)들이 이웃들에게 복음을 전하지 못하고 외면당하고 (사실상 그들이 이웃들을 신앙상의 이유로 외면했던 결과임) 고스란히 고사하여 문을 닫는 일이 속속 발생하게 된 것입니다. 알버트 추 목사는 같은 개혁신앙의 내용들을 믿고 지지하고 전파하지만, 그들과는 완전히 다른 태도, 다른 방식으로 교회를 개척하고 교회를 열고 교회를 형성했고, 살아남을 뿐 아니라 성장했습니다.


우리는 이 사례에서도 묵은 포도주를 담고 있는 낡은 포도주가죽부대와 새 포도주를 담을 새 포도주 가죽부대의 모습을 봅니다.


그렇다면 한인교회들은 어디에 속할까요? 제가 보기에 북미주개혁교단 안에 속한 한인교회들만 아니라 다른 교단들 속에 속해 있는 한인교회들까지도 낡은 포도주 가죽부대에 속한다고 여겨집니다. 한인교회들도 고사하고 있습니다. 우리들끼리 잘 모이는 대단히 큰 교회들, 중대형 교회들도 아직 많이 있지 않습니까? 네덜란드 백인들 중심의 북미주개혁교회들 중에도 여전히 그랜드 래피즈 중심으로 해서 중서부에는 그렇게 큰 교회들이 아주 많습니다. 그러나 그 멘탈리티는 웨스트코스트 지역에 나와 교회를 개척하고 멋진 교회당을 짓고 자기들끼리 모여서 고고하게 예배했던, 그리고 그러다가 서서히 고사하게 된 백인들 중심의 개혁교회들의 멘탈리티와 전혀 다를 바가 없습니다. 그리고 물론 그렇게 지금 잘 나가는 것처럼 보이는 교회들도 포스트-기독교사회의 위기를 감지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카이로에서 온 앤 자키가 말했듯이, 신랑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한 새포도주를 담을 새 가죽부대가 필요한 때입니다.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부대에 부어 담으면 새 포도주가 힘있게 발효할 때에 가죽부대도 터져나가고 새포도주도 쏟아져서 쓸모 없게 되어 버립니다.


지금은 우리 자신들도 모르게 세상 권력구조를 본따 나가고 있는 경직된 위계질서를 이룬 교회의 구성과 구조를 낮아지신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뒤바꿔야 할 때이며, 우리 믿음의 내용이 좋기 때문에 바깥 사람들을 경계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때문에 이웃들에게로 나아가서 이웃들을 우리의 친구로 삼으면서 복음의 원리가 스며들어가고 그들의 눈으로 복음의 삶을 확인하게 하며 그들의 귀에 복음이 들리게 하여, 삶으로 복음을 확인하게 하는 노력이 필요할 때입니다.

화요일 저녁 식사 후에는 또감사 교회의 최경욱(Ken Choe) 목사님이 나와서 이 교회를 개척하면서 선교하는 교회로 목표를 정하고 건물에 전혀 신경쓰지 않으면서 교회 헌금 총액의 50%이상을 처음부터 선교에 사용하고, 그 결과 75% 이상을 해외 선교에 사용하는 결과를 냈고, 어떤 때는 90%이상을 사용하기도 하면서 선교에 교회의 온힘을 쏟게 된 스토리를 전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또감사 교회의 장도원 장로님이 북한선교를 감당하게 된 스토리를 전해 주었는데, 현재 북한이 얼마나 어려운 처지에 있는지를 호소하면서 마지막에 북한 사람들 자신이 "이제 우리에게 남은 것은 물과 공기밖에 없다"고 말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해 주었습니다.


그리고 장 장로님과 그 가족들, 및 최 목사님과 선교에 참여하고 있는 또감사교회 교인들을 다 앞에 나오게 한 다음 참석자들이 다 나와서 함께 그들을 위해서, 또 북한 선교를 위해서, 또 북한을 위해서 기도하는 감동적인 시간을 갖고 헤어졌습니다.


이번 글로컬 미션 서밋은 북미주개혁교회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했던 하나의 패러다임이 고착되고 굳어지면서 글로벌한 세계의 새로운 상황이 제기하는 도전에 반응하기 어려워진 현실에서 실제로 세상을 사랑하시는 구속과 언약의 하나님께서 우리 교회들을 어느 방향으로 인도해 나가시면서 우리에게 손짓하고 계시는지를 보여주는 특별한 조명의 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교회들에게 새로운 생명력을 주는 성령의 역사는 교단의 주변부(fringe)로부터, 그 가장자리의 경계에서 기성의 고정관념들의 경계를 넘어가면서 도전하고 그 자리로 넘어가 섬기는 하나님의 일꾼들로부터 온다는 사실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고착되어 있는 현재의 우리의 상태에 대해 점검하고 어떻게 하면 하나님이 오라고 부르고 계시는 자리로 나아갈 수 있을지를 고민하면서 참작해야 할 소중한 컨퍼런스였습니다.


1 comentario


Miranda Nelson
Miranda Nelson
20 ago 2021

Good reading this postt

Me gusta
Recent Posts
bottom of page